본문 바로가기
복지 금융 핵심 정보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 조건, 금액 정리 (2022년 기준)

by gimmered 2022. 12. 28.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

연말정산 세액공제 항목 중 보험료 세액공제에 대해 정확히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세액공제 대상 보험 종류와 대상자 조건 및 공제 한도 금액과 비율 정보를 정리하였으니 연말정산에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 특별 세액 공제

보험료 세액공제는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 중 특별세액공제(의료비, 보험료, 교육비, 기부금 )에 해당합니다. 내 보험료 세액공제 내용 자체는 어렵지 않으니 이번 기회에 간단하게 하나씩 배우시면 이후 연말정산에서 큰 도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공제 대상 보험 - 보장성 보험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이 되는 보험은 생명보험, 상해보험, 손해보험 등의 보장성 보험입니다. 해당 연도에 보장성 보험에 납입한 보험료가 세액공제의 대상이 됩니다. 즉 작년에 납부해야 할 보험료를 올해 납입한 경우, 해당 보험료는 올해 공제 대상으로 포함됩니다. 

세액공제 조건 - 보험료 지급자, 피보험자 기준

세액공제 조건은 보험료 지급자(계약자)와 피보험자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경우 피보험자의 기본 공제 대상자 유무에 따라 세액공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보험료 지급자 (계약자) 피보험자
본인 (근로 소득자) 본인 (근로 소득자 ) 또는 부양 가족 (기본 공제 대상자)

기본 공제 대상자 조건은 나이 요건과 소득 요건을 따져야 합니다. 나이 요건은 대부분 만족하지만 소득 요건인 연 100만 원 이하의 소득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소득 요건으로 인해 보통 맞벌이 부부는 기본 공제 대상자에서 제외되어 세액공제를 받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보장성 보험의 계약 유형에 따라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보험료 지급자(계약자) 피보험자
본인(근로 소득자 ) 부부 공동
본인(근로 소득자) 주 피보험자 : 근로자 본인
종 피보험자 : 배우자 의 기본 공제 대상자인 자녀 

세액공제 한도, 공제 비율 

보험료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 비율은 두 종류의 보장성 보험, 일반 보장성 보험과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 각각에 따로 적용됩니다.

보장성 보험 종류 공제 한도 금액 공제 비율 최대 세액공제 금액
일반 보장성 보험 100만원 12% 12만원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 15% 15만원

예를 들어서 한 가정에서 보장성 보험 공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일반 보장성 보험료 180만 원,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료가 110만 원을 해당 연도에 납입하였다면 총 27만 원의 금액이 세액공제 됩니다. 

증빙서류, 납입금액 확인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활용 사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활용하여 보장성 보험 납입금액 확인하는 절차

필요한 증빙서류는 증빙서류는 보험료 납입 증명서 또는 보험료 납입 영수증입니다. 하지만 보험료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 따로 증빙서류를 제출하거나 납입 금액을 확인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가 없습니다.

바로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홈택스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위 사진대로 이동하시면 보험료 납입금액 중 보장성  보험료 납입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일부 포스팅은 파트너스 일환으로 커미션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