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 주식을 찾는 법을 알고 있다면 투자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중 가장 기본적으로 널리 쓰이는 PER, PBR, PCR, PSR의 개념과 활용 및 주의할 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평가 주식과 기업 가치 지표
저평가된 주식을 찾고 싶다면, 먼저 기업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많은 가치 투자자들이 기업 가치 지표를 활용합니다. 하지만 기업 가치 지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용어가 복잡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부하시기를 포기하곤 합니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모든 지표를 한 번에 이해하려고 애를 쓰기보다는, 효율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부터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EPS와 PER
EPS와 PER는 기업의 이익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먼저 EPS부터 이해하신 뒤에 PER를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EPS - 주당 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 )는 한 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당기 순이익 / 발행 주식수입니다. 일반적으로 EPS가 높거나 수익이 적자에서 흑자 전환한 뒤 이후 꾸준히 EPS 가 증가하는 기업이라면 투자 매력도가 높은 기업이라고 여깁니다.
PER - 주가 수익 비율
PER (Price Earning Ratio)는 주가 대비 수익의 비율을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시가총액 / 당기 순이익 또는 EPS를 활용하여 주가 / EPS로 표현합니다. 즉 PER가 높다면 주당 순이익(EPS) 보다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PER가 낮을수록 저평가 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ER를 낮아지는 경우는 1) 당기 순이익이 증가하여 EPS가 증가하거나, 2) 기업 가치 대비 주가가 더 하락하거나 2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BPS와 PBR
BPS와 PBR은 기업의 자본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역시 BPS를 통해 PBR의 개념을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BPS - 주당 장부 가치, 주당 순자산 가치
BPS (Book value Per Share )는 한 주당 기업의 순 자산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당기 순자산(총자산-부채) / 발행 주식수입니다. BPS가 높으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높아 안전성을 판단할 수는 있지만, 실제 기업의 이익이나 매출 등에 대한 정보는 파악할 수 없어 BPS만을 활용하여 기업을 평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PBR - 주가 순자산 비율
PBR ( Price Book value Ratio)는 주가 대비 순 자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식은 시가총액 / 당기 순자산 또는 주가 / BPS입니다. PBR이 높다면 주가가 기업이 가진 순 자산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니 고평가 된 기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낮을수록 투자 안정성이 좋은 기업입니다.
CPS와 PCR
cps와 pcr 은 기업의 현금 흐름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또한 이 지표는 EPS, PER 만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어려울 때 함께 활용하면 올바른 의사 결정을 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CPS - 주당 현금 흐름
CPS ( Cash flow Per Share )는 한 주당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당기 영업 현금 흐름 / 발행 주식수입니다. CPS가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해 원활한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PCR - 주가 현금흐름 비율
PCR ( Price Cash flow Ratio )는 주가 대비 영업 현금 흐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식은 시가총액 / 당기 영업 현금 흐름 또는 주가 / CPS입니다. PCR이 높다는 것은 현재 주가가 영업 현금 흐름에 비해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이 현재 영업 현금 흐름에 비해 해당 기업에 과한 기대를 하고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PCR이 낮다면 영업 현금 흐름이 괜찮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낮게 책정되었다는 의미입니다.
SPS와 PSR
sps와 psr은 기업의 매출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PER, PBR, PCR로 평가를 하기 어려운 기업이 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또한 매출과 관련된 지표이다 보니 쉽게 데이터를 조작할 수 없기에 신뢰도가 높은 지표 중 하나입니다.
SPS - 주당 매출액
SPS (Sale Per Share )는 한 주당 기업의 매출액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당기 총 매출액 / 발행 주식 수입니다. SPS를 통하여 순이익이 얼마일지 어림잡을 수 있습니다. 매출에서 각종 비용을 제외한 결과가 순이익이 때문이죠. 또한 일반적으로 SPS가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영업 활동을 통한 판매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SR - 주가 매출액 비율
PSR ( Price Sale Ratior )는 주가 대비 매출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식은 시가총액 / 당기 매출액 또는 주가 / SPS 또는 매출액 대비 순이익의 비율 * PER입니다. PSR이 낮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보면 매출은 높은데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의미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주식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SR은 대개 스타트업과 같이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많이 활용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기업 가치 지표로 저평가 주식 찾을 때 주의 사항
위에서 소개한 4가지 기업 가치 지표를 활용하여 저평가 주식을 바로 찾고 싶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해당 지표를 활용할 때 주의할 점을 미리 파악하신 뒤에 종합적으로 지표들을 활용하신다면 더 훌륭한 판단을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주의 사항 말고도 직접 기업을 평가하는 경험을 쌓다 보면, 다른 추가적인 지표의 필요성과 함께 활하면 지표들의 조합을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PER 활용 시 주의할 점
PER 은 직관적인 지표이지만, 그만큼 해당 지표로만 판단을 하면 올바른 판단을 놓칠 수도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PER은 해당 기업의 특징, 다른 지표들인 PCR, PSR 등도 고려해서 활용을 하시면 좋습니다.
PER이 높지만 고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
가장 많이 하는 잘못된 판단 중 하나입니다. 왜냐하면, 해당 기업이 어떤 산업 분야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PER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줄 아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에는 순이익이 낮지만 계속 성장에 투자하여 미래에 큰 수익이 날 것으로 기대되는 성장주, 기술주들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PER가 높은 편입니다. 반대로 금융주, 필수소비재 같은 가치주, 배당주들은 현재에도 꾸준한 순이익을 발생하는 한편 주식의 변동성은 적기에 일반적으로 PER가 낮은 편입니다.
요약하자면 동종 산업 분야에서의 주식끼리 PER를 비교한 뒤 상대적으로 PER의 높고 낮음을 통해 고평가 된 주식인지, 저평가된 주식인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또는 같은 주식 항목이 실적(매출 또는 순이익)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는데 급격하게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여 PER이 변하는 경우 역시 시간을 기준으로 고평가 또는 저평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PER이 낮지만 저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
그렇다면 PER가 낮으면 무조건 저평가된 주식일까요? 이 역시 잘못된 판단일 수 있습니다. 이유는 바로 순이익 때문인데요. 순이익은 영업이익과 영업외 이익의 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서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에 영향을 주는 이익은 영업 이익입니다. 그런데 만약 영업 외 이익의 증가로 인하여 순이익이 증가하였고 EPS가 증가하였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는 PER의 계산식(주가/ EPS)에 따라 영업 이익은 증가하지 않았는데도 PER는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사실은 저평가된 기업이 아닐 수 있음에도 말이죠.
또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회계 절차에 따라 순이익을 계산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영업 활동에도 다른 영업 이익 금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순이익은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PER 말고도 PCR을 통해 실제 영업 현금 흐름을 기준으로 판단을 하거나, PSR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조작이 불가능한 매출을 기준으로 판단을 할 줄도 아셔야 합니다.
PBR 활용 시 주의할 점
PBR 역시 단독으로 활용하기에는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표입니다. 다른 지표들은 매출, 현금 흐름, 순이익과 관련된 지표이지만 PBR은 순 자산에만 집중하는 지표이기 때문이죠. 즉, PBR만으로 기업의 전체적인 모습을 판단하기는 매우 힘든 일입니다.
PBR 높아도 고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
PBR이 높다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주가 대비 순 자산이 적다는 의미로 보통은 재무 건전성이 안 좋은 주식이기에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업이 속한 산업 분야에 따라 올바른 판단이 아닐 수 있습니다.
순 자산에는 대체로 유형자산, 재고자산이 포함됩니다. 전통적인 기업은 기업이 보유한 토지, 공장 등의 유형 자산 및 현금화 가능한 재고자산을 보유하고 있기에 PBR이 높다면 고평가 된 주식이라고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콘텐츠 플랫폼 기업과 같은 IT 기업은 무형 자산이 자산의 대부분인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높은 가치를 지닌 무형 자산이라 하더라도 순 자산에 포함되지 않아 PBR이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PBR 낮아도 저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
반대로 PBR이 낮아도 저평가 주식이 아닐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PBR은 순 자산만을 척도로 판단하기에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실제 영업 이익이 감소하여 주가가 하락한 경우 해당 주식은 저평가 주식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가 하락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업의 유형 자산 또는 재고 자산의 합인 순 자산에는 변화가 없다면 상대적으로 PBR(주가 / BPS)는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BR이 낮아졌을 때 실제로 영업 이익은 어떠한지 등 기업의 영업 활동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참고해야 올바른 판단을 내리실 수 있습니다
PSR 활용 시 주의할 점 - PSR 낮아도 저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상대적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PSR이 낮다 하더라도 저평가 주식이 아닌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PSR의 변형된 계산식인 순매출 대비 순이익 비율 * PER에서 실제 PER는 변동이 없는데 순매출에서 순이익의 비율 자체가 줄어든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는 해당 기업의 영업 마진 자체가 줄어든 경우에 해당합니다. 즉 PSR을 활용하여 저평가 주식을 찾을 때는 실제 영업이익과 매출액의 증감률을 함께 확인해야 올바른 판단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PER은 높은데 PSR이 낮은 주식은 저평가 된 주식이라 보기 힘듭니다.
저평가 주식을 찾기 위하여 기업 가치 지표 중 가장 기본이 되고 많이 활용되는 4개의 지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해당 지표를 천천히 공부하시고 적용하신 뒤에 추가적인 지표들도 함께 배워 적용해 나가시면 투자를 통해 좋은 결과가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진정한 자산,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주가 하락, 일론 머스크 CEO 리스크,그 끝은 매각? (2) | 2022.12.21 |
---|---|
저평가 우량주 찾는 법, 퀄리티 지표 활용 (ROE,ROA,ROIC 등 ) (0) | 2022.12.20 |
저평가 주식 추천, 다우 기술 (0) | 2022.12.19 |
금리 높은 예금 추천, 예금 금리 전망 (0) | 2022.12.19 |
테슬라 주가 하락 예정된 결과, 다음은 애플? (0) | 2022.12.18 |
댓글